20210919 TIL
업데이트:
GDSC Yonsei Flutter-단기간에-앱-만들기 운영방식 결정 및 커리큘럼 작성
스터디 운영방식
스터디장 : 송이령
스터디 기간 : 2021년 9월 19일부터 자율 참가
*정규 모임은 없지만, 각 단계 별로 세미나를 열거나, 질문 받는 줌 회의를 열 것 같습니다. ~ 상황 봐서 결정 ~
- 유형 선택하기(택1)
- 만들어야 하는 앱이 있다.
- 아직 만들고 싶은 앱은 없다. -> 평소 자주 쓰는 앱 선택해서 따라 만들기. - 스터디 초반에는 같은 자료를 보고 공부합니다.
자료 : 공식 문서, 공식 코드랩(실습)
공부 자료는 동일하지만, 줌으로 모이지는 않습니다.
각자 ‘커리큘럼 및 체크리스트’ 순서대로 따라가면서 학습합니다.
공부 중 궁금한 점이 있으면 Slack ‘#5-활동-flutter-단기간에-앱-만들기’에 메시지를 작성합니다. - 스터디 중반부터는 각자 앱 만들기 시작합니다.
개발 진행상황 / 앱 개발 중간에 생기는 이슈들을 서로 공유합니다.
위 내용을 구글 시트/Slack으로 공유합니다.
공부 자료 선택 때문에 고민이 많았다.
유데미의 ‘The Complete 2021 Flutter Development Bootcamp with Dart’ 강의,
유데미의 ‘Flutter & Dart - The Complete Guide [2021 Edition]’ 강의,
‘Do it! 플러터 앱 프로그래밍(개정판)’ 책
이렇게 3종류 모두 결제해서 가볍게 살펴봤다.
첫 번째 강의는 플러터 2.0 이전의 버전을 다루고,
두 번째 강의는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중이고,
책은 2021년 9월 8일 개정인데, 플러터 2.X버전 적용이라고는 하지만 지금 버전 2.5보다 하위 버전을 다루고 있다.
심지어 Google I/O에서 다뤘던 코드랩도 지금 버전 2.5가 아니라 2.2버전 내용이다.
학생들에게 2.2버전을 다운받아서 쓰라고 할까…고민하다가,
2.5 버전에서 성능이 개선되었다고 해서
2.5 버전으로 시작하고, 자료는 최대한 공식 자료를 이용하는 걸로 결정했다.
그리고 각자 실력, 사전 지식, 앱 개발에 대해 다급한 정도가 달라서,
정규 모임은 없고 각자 커리큘럼을 따라가는 방식을 선택했다.
상담 기록지를 작성했을 때 예상 인원은 나까지 6명이고,
학교 에브리타임을 통해 공지하려고 한다.
백준 브론즈 문제 풀기
15680번, 11943번 문제를 풀었다.
소스 코드에 주석으로 간단한 설명을 적었다.
15680-연세대학교.py
11943-파일옮기기.py